2025년 5월 19일 월요일
HomeMOTORSPORTS NEWS맥라렌 랜도 노리스 오스트레일리아 GP 우승

맥라렌 랜도 노리스 오스트레일리아 GP 우승

랜도 노리스가 2025 F1 개막전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 우승컵을 들었다. 3월 16일, 앨버트 파크 57랩 결승에서 노리스는 레드불 맥스 페르스타펜을 0.895초 차이로 따돌리고 포디엄 정상에 올라갔다.

메르세데스 조지 러셀, 키미 안토넬리, 알렉산더 알본이 3~5위. 안토넬리에게 부과된 5초 가산 페널티가 철회되면서, 5위로 밀려났던 그의 순위는 4위로 정정되었다.

예선 13위 랜스 스트롤은 지난해와 같이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결승 6위. 예선을 구긴 니코 휠켄베르크는 샤를 르클레르에 앞서 7위를 기록했고, 오스카 피아스트리와 루이스 해밀턴이 포인트 피니시 10위권을 마무리 지었다.

메르세데스 루키 키미 안토넬리는 F1 데뷔전에서 4위를 기록했다. 사진 : 메르세데스 F1

키미 안토넬리 F1 데뷔전에서 4위 기록

2025 F1 개막전은 포메이션랩부터 쉽지 않은 일전을 예고했다. 비에 젖은 트랙에서 아이작 하자르가 일으킨 단독 사고로 출발이 지연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58랩 결승은 1랩을 줄인 57랩으로 변경되었다.

15분 뒤 속개된 오프닝랩은 빠르게 세이프티카를 불러들였다. 잭 두한과 카를로스 사인츠의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8랩째 재개된 레이스 리더는 폴시터 노리스. 예선 순위를 바꾼 페르스타펜과 피아스트리가 2, 3위에 랭크되었고, 러셀, 르클레르, 츠노다 유키, 알본, 해밀턴, 피에르 개슬리, 페르난도 알론소가 10위권을 형성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결승은 34랩째 두 번째 세이프티카 상황을 맞이했다. 애스턴마틴의 베테랑 알론소가 스핀 후 리타이어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후 각 팀 드라이버들은 인터미디어트 대신 드라이 타이어로 교체하는 피트스톱에 돌입했다. 10위권 드라이버 중에서는 1, 2위 맥라렌 듀오를 포함한 7명이 하드 타입을 선택한 것과 달리 페르스타펜, 츠노다, 알본은 미디엄 타이어를 골랐다.

42랩째 정상궤도에 진입한 레이스는 2랩 뒤 다시 한 번 크게 요동쳤다. 꾸준하게 2위를 유지한 피아스트리가 미끄러지며 트랙을 벗어난 데 이어, 1위 노리스가 피트인하자 선두권 순위가 빠르게 재편되었다.

46랩 전반 1~5위는 드라이 타이어를 신고 달린 페르스타펜, 해밀턴, 개슬리, 르클레르, 츠노다. 인터미디어트로 교체한 노리스가 이들 뒤에 자리를 잡았고, 스핀 후 인터미디어트 타이어를 장착한 피아스트리는 15위로 굴렀다. 이 순위도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드라이 타이어로 버틴 드라이버들 또한 다시 인터미디어트로 교체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모든 선수들이 웨트 타이어로 바꾼 뒤 재편된 톱3는 노리스, 페르스타펜, 러셀. 경쟁 드라이버들보다 뒤늦게 타이어 교체를 마친 페라리 해밀턴과 르클레르는 1, 2위에서 9, 10위로 하락했고, 피아스트리는 13위에 터를 잡고 반격을 노렸다.

리암 로슨과 가브리엘 보톨레토의 연이은 리타이어로 세 번째 세이프티카를 불러온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결승은 6랩을 남겨 두고 뜨거운 순위 경쟁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특히, 노리스와 페르스타펜은 1초 이내 접근전을 펼치며 짜릿한 대결을 이어갔다.

수중전으로 전개된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에서 랜도 노리스, 맥스 페르스타펜, 조지 러셀이 포디엄 드라이버로 결정되었다

앨버트 파크 57랩 피니시 체커기의 주인공은 노리스. 페르스타펜의 막판 공략을 실수 없이 막아낸 노리스는 2025 F1 그랑프리 개막전을 폴투피니시로 마무리 지었다. F1 통산 5승째.

레드불 페르스타펜은 0.895초차 2위. 러셀에게는 3위 트로피가 돌아갔고, 메르세데스 루키 키미 안토넬리는 F1 데뷔전에서 4위를 기록하며 미래를 밝혔다.

페라리 데뷔전을 치른 해밀턴은 파이널랩에서 피아스트리에 밀려 10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예선 17위 휠켄베르크는 결승 7위로 도약하는 행운을 잡았다. 하스 올리버 베어맨은 14위 완주. 출발 그리드에 서지 못한 하자르를 비롯해 두한, 사인츠, 알론소, 보톨레토, 로슨은 피니시 체커기를 받지 못했다.

2025 F1 2라운드는 3월 21~23일 중국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된다.

박기현 기자 l 사진 RED BULL MEDIA

spot_img

Most Popular